본문 바로가기

공업수학

[제 1장] 1.4-1 완전상미분방정식. 적분인자

1.4절에서는 완전상미분방정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완전상미분방정식을 보기에 앞서, '전미분'이 무엇인지 알아야하는데요,

 

전미분에 대해서는 따로 글이 있으니 정확한 이해를 원하는 분들은 아래 링크를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전미분의 정의

미적분학을 공부하다보면 전미분과 편미분을 배우게 되는데요, 종종 이 개념들이 헷갈립니다... 오늘은 이 두 개중 '전미분'에 대해 정확히 아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증분'의

raonjselfengineering.tistory.com

다시 한 번 전미분의 정의를 쓰면 다음과 같습니다.

$du = \frac{\partial u}{\partial x}dx\; +\; \frac{\partial u}{\partial y}dy$

 

자 이 때, $u(x,y)$를 $c$, 즉, 상수라고 가정해보겠습니다. 

$u(x,y)$가 상수이면 $du=0$이겠죠.

 

만약, $u=x+x^2y^3=c$라고 해보겠습니다.

 

위의 전미분 공식대로 $du$를 표현해보면 다음과 같은 식이 나오게 될 것입니다.

$du=(1+2xy^3)dx + (3x^2y^2)dy=0$

 

식을 $\frac{dy}{dx}$에 대해 정리하면, $y'=-\frac{1+2xy^3}{3x^2y^2}$가 됩니다.

 

여기까지 이해하는데 문제 없으셨나요? 

그렇다면 완전미분방정식도 이해하시는데 전혀 문제가 되지 않으실 겁니다.

 

위에서 푼 방식을 완전상미분방정식에 이제 적용해보겠습니다.

 

 

 

위의 전미분 공식과 유사한 형태를 만들기 위해 1계 선형상미분방정식을 다음과 같은 형태로 만들겠습니다.

$M(x,y)dx+N(x,y)dy=0$

 

이 때, 위의 식이 어떤 함수 $u(x,y)$의 미분형태, 즉, $du = \frac{\partial u}{\partial x}dx\; +\; \frac{\partial u}{\partial y}dy$ 라면, 우리는 이 식을 완전미분방정식(Exact Differential Equation)이라고 합니다.

 

맨 처음에 이 $u(x,y)$를 상수라고 가정하신 것, 기억하시나요?

 

이 식도 상수라고 가정하면, $du=0$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 식의 일반해를 $u(x,y)=c$ 로 표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자, 이제 두 식을 나란히 놓고 비교해보겠습니다.

$M(x,y)dx+N(x,y)dy=0$

$\frac{\partial u}{\partial x}dx\; +\; \frac{\partial u}{\partial y}dy=0$

 

위 식과 아래식을 비교해보면

$\frac{\partial u}{\partial x}=M$, $\frac{\partial u}{\partial y}=N$

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식을 다시 다음과 같이 연산해보면,

$\frac{\partial M}{\partial y}=\frac{\partial^2 u}{\partial y\partial x}$, $\frac{\partial N}{\partial y}=\frac{\partial^2 u}{\partial x\partial y}$

입니다.

 

편미분에서는 순서가 중요하지 않으므로 (y로 먼저 미분하나, x로 먼저 미분하나 결과값은 같습니다.)

위 두 식은 같은 값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frac{\partial M}{\partial y}\; = \; \frac{\partial N}{\partial x}$ 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완전미방이 되기 위한 조건입니다.

 

 

 

이제 완전미방을 푸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frac{\partial u}{\partial x}=M$ 의 양변을 x에 대해 적분하면 $u=\int M dx+ k(y)$ 이고

$\frac{\partial u}{\partial y}=N$ 의 양변을 y에 대해 적분하면 $u=\int N dy + l(x)$입니다.

 

참고! 첫 식은 x에 대해 적분하였으므로 k(y)는 상수취급됩니다. 두번째 식 또한 y에 대해 적분하였으므로 l(x)는 상수취급됩니다.

 

위 의 두 식 모두 사용가능하나, 본 글에서는 윗 식을 사용하여 해를 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시 한 번 식을 적어 보겠습니다.

$u=\int M dx+ k(y)$

 

양변을 y에 대해 미분합니다.
$\frac{\partial u}{\partial y}=\frac{d(\int Mdx)}{dy} \; + \; k'(y) \; = \; N(x,y)$

 

$\frac{d(\int Mdx)}{dy}, N(x,y)$ 는 우리가 정확히 아는 식이므로

k'(y)에 대해 정리할 수 있습니다.

 

구한 k'(y)를 다시 $\frac{\partial u}{\partial y}=\frac{d(\int Mdx)}{dy} \; + \; k'(y)$ 에 넣고

양변을 y에 대해 적분하면,

$u(x,y)$ 가 나올 것입니다.

 

맨 처음에 $u(x,y)$가 상수라고 했던 것을 기억하신가요?

 

결국, $u(x,y) = \int M dx + k(y) = c$ 라고 쓸 수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완전상미분방정식의 일반해입니다.

 

 

 

다음 글에서는, 완전상미분방정식의 형태로 나타내어지지 않는 방정식을 완전상미분방정식의 형태로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많이 부족한 대학생입니다. 글에 오류나 문제가 있다면 언제나 지적 부탁드립니다!
  • 질문 또한 언제나 환영입니다!
  • 항상 글의 난이도는 완전 처음 보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에 최대한 쉽게 작성하고자 합니다. 따라서 약간 기술적으로 접근하는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부족한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